- 요약 보안관리를 위해 회사내의 문서보관실의 출입문 출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 보안관리 시스템은 회사내 보안문서를 보관하는 문서보관실;과 상기 문서보관실의 출입문에 부착된 RFID 태그 리더;와 상기 태그 리더와 연결된 문서보관실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RFID 태그 리더는 출입자가 출입할 때 RFID 태그가 부착된 출입증이 태깅되면, 상기 출입증의 출입 기록이 문서보관실 PC를 통해 미들웨어로 연결된 보안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상기 문서보관실의 출입증을 소지한 출입자의 출입 기록과 상기 디지털 문서 보안실의 웹 접속 기록(log 기록)을 포함하는 출입데이터가 저장되는 보안 서버; 및 상기 보안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사장을 비롯한 임원과 직원들이 구비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포함한다.
- 대표 청구항 보안관리를 위해 회사내의 문서보관실의 출입문 출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회사내 보안 문서를 보관하는 문서보관실(100);과 상기 문서보관실(100)의 출입문에 부착된 13.56MHz RFID 태그 리더(110);와 상기 RFID 태그 리더(110)와 연결된 문서보관실 PC(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디지털 문서 보안실은 문서와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서버(230)를 구비하며, 상기 RFID 태그 리더(110)는 출입자가 출입할 때, RFID 태그가 부착된 출입증(130)이 태깅되면 상기 출입증(130)의 출입 기록이 문서보관실 PC(120)를 통해 미들웨어로 연결된 보안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상기 문서보관실의 출입증을 소지한 출입자의 출입 기록과 상기 디지털 문서 보안실의 웹 접속 기록(log 기록)을 포함하는 출입데이터가 저장되는 보안 서버(200); 및 상기 보안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사장을 비롯한 임원과 직원들이 구비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7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7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데이터는 상기 문서보관실의 출입증을 소지한 출입자의 출입 기록과 상기 디지털 문서 보안실의 웹 접속 기록(log 기록)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출입데이터는 네트워트 장비의 가상 머신을 사용한 원격 PC의 CPU 상태 모니터링(cpu_system_pct, cpu_user_pct, tot_cpu_pct)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서버(200)는 상기 출입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입 패턴을 학습하며, 학습 알고리즘은 딥러닝(CNN)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출입데이터의 정상 패턴을 학습하고, 누적된 통계 데이터를 기초로 Z-score, 평균, 표준 편차를 계산하고 정규분포화 한 후, 개인별로 다른 AI 가변 임계치(상한치, 하한치)를 결정하고, 개인별로 다른 AI 가변 임계치(상한치, 하한치)를 통해 이후의 탐지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이상 패턴을 추출하는, 출입문 보안관리시스템.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사이버보안
산업, 가상융합 보안 - 출원번호 10-2021-0158807 KIPRIS
- 출원일 2021-11-17
- 공개번호 10-2023-0072253
- 공개일 2023-05-24
- 등록번호 10-2659067
- 등록일 2024-04-16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등록
- 현재 권리자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IPC 코드 G07C-009/22, G07C-009/28, G07C-009/00, G06N-020/00, G06Q-010/06, G06K-019/07

































































Copyright ⓒ 한국연구재단 기술사업화센터 (NRF-TC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