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국내 감성 로봇 개발이 중소기업 중심이고, 연구개발 자금이 해외 선진국들에 비해 매우 부족해 사용화가 더디다는 점이 문제점과, 감성로봇의 경우에 획일적이고, 프로그램적으로 수동적인 반쪽짜리 감성만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인간의 외로움과 슬픔, 불안을 달래주는 교감형 감성로봇개발이 시급한 문제점과, 감성로봇 자체가 성장하지 않고, 초기상태 그대로 정체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떨어져, 감성로봇시장이 점점 위축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교감형 애완용 로봇(100), 감성서버모듈(200)이 구성됨으로서, 교감형 애완용 로봇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감성적 요소를 추가하여 교감형 애완용 로봇이 사용자의 반응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행동을 보임으로서, 교감형 애완용 로봇을 통해, 감성눈동자 생성과 함께, 강아지 또는 고양이의 울음소리, 짖는소리, 낑낑대는 소리, 평상시에 듣고싶었던 보고싶은 친구목소리, 어머니목소리, 아버지목소리, 연예인목소리를 통해 사랑받고 위로받아, 감성치유를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HRI(Human Robot Interaction)을 통해 교감형 애완용 로봇이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적합한 반응과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의사소통 및 상호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 판단, 표현의 새로운 교감플랫폼을 제시할 수가 있으며, 학습NFT 이미지를 학습하면서, 로봇자체에서 생성된 감성백분율(%)에 따라 새로운 NFT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어, 양질의 NFT 이미지를 통한 수익창출을 기존에 비해 1.5배~3배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높여 교감형 애완용 로봇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교감형 애완용 로봇을 통한 감성백분율 기반 NFT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대표 청구항 사용자의 눈동자와 눈썹을 촬영하여 딥러닝으로 감성학습하면서, 감성눈동자, 및 감성눈동자와 눈썹까지의 조합을 표출시킨 후, 로봇자체에서 생성된 감성백분율(%)에 따라 새로운 NFT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형 애완용 로봇을 통한 감성백분율 기반 NFT 이미지 생성장치.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첨단로봇·제조
인간, 로봇 상호작용 - 출원번호 10-2022-0144338 KIPRIS
- 출원일 2022-11-02
- 공개번호 10-2024-0065557
- 공개일 2024-05-14
- 등록번호
- 등록일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심사중
- 현재 권리자
- IPC 코드 G06V-040/18, G06V-040/16, G06N-020/00, G06Q-050/10, G06T-013/40, B25J-011/00, B25J-009/00, B25J-009/16, B25J-013/00, B25J-019/02, B25J-019/00, B62D-057/02

































































Copyright ⓒ 한국연구재단 기술사업화센터 (NRF-TC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