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항공기 엔진 수명관리와 유지보수 일정을 고려한 비행계획 수립 인공지능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항공기의 엔진 수명관리와 유지보수 일정을 고려한 비행계획 수립 방법은, 항공기의 부품 잔여 수명 분포가 수명관리 통제선에 근접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항공기들을 운영하기 위한 항공기 임무 할당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항공기 임무 할당 모형을 이용하여 탐색된 부품 수명 정보와 정비일정을 통해 항공기의 비행계획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구과제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 사업명: 방산혁신클러스터지원사업 - 과제명: 첨단방산소재부품연구실(센터) - 과제고유번호: DCL2020L - 기관세부과제번호: 2020-0561 - 총연구기간: 2020-12-16 ~ 2022-12-15 - 당해연구기간: 2020-12-16 ~ 2021-12-15 - 부처명: 방위사업청 - 주관기관: 국방기술진흥연구소 - 과제수행기관: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표 청구항 항공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항공기의 엔진 수명관리와 유지보수 일정을 고려한 비행계획 수립 방법에 있어서, 항공기의 부품 잔여 수명 분포가 수명관리 통제선에 근접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항공기들을 운영하기 위한 항공기 임무 할당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항공기 임무 할당 모형을 이용하여 탐색된 부품 수명 정보와 정비일정을 통해 항공기의 비행계획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시공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항공기의 임무의 시간대를 노드로 고려한 항공기 임무 할당 모형을 생성하고, 항공기의 부품 잔여 수명 분포가 수명관리 통제선에 근접하는지에 대한 엔진 수명관리 수준 평가를 위한 목적함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목적 함수를 통해 상기 항공기의 부품 잔여 수명 분포가 수명관리 통제선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목적함수는, 최소자승법 또는 최소절대편차를 통해 초기 무장상태에서 출발되는 항공기의 임무 시간대 간의 겹침을 방지하고, 임무할당 경로의 연속성 보장을 제약하고, 당일 임무가 할당되는 항공기는 초기 무장상태로 복원하고, 임무할당 경로가 임의 노드에 머무르지 않고, 임무할당 경로에서의 부분 순회경로 방지 제약을 만족하는 임무 노드 선택 제약이 설정되고, 임무 노드에 필요한 항공기 대수를 충족하고, 할공기의 일일 비행횟수를 제한하는 항공기 대수 및 비행횟수(sortie) 제약 조건이 설정되고,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의 잔여 수명 또는 차기 예방정비 도래 전까지 임무할당, 항공기의 차기 기체 예방정비 도래 전까지 임무를 할당하는 예방 정비 스케줄 제약 조건이 설정되고, 비행스케줄 수행을 위한 정비 인시수 이내 임무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man-hour 제약 조건이 설정되는 비행계획 수립 방법.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우주항공·해양
대형 다단연소사이클 엔진 - 출원번호 10-2021-0128801 KIPRIS
- 출원일 2021-09-29
- 공개번호 10-2023-0045934
- 공개일 2023-04-05
- 등록번호 10-2625572
- 등록일 2024-01-11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등록
- 현재 권리자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IPC 코드 G06Q-050/40, G06Q-010/00, G06Q-010/10, B64F-005/40, G06Q-010/06, G08G-005/00

































































Copyright ⓒ 한국연구재단 기술사업화센터 (NRF-TC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