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본 발명은 에어로졸의 고농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고농도 에어로졸로 판별되었을 시, 에어로졸이 해외 발인지 국내 발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위성과 통신하며 위성에서 전송하는 지리데이터 및 영공에 부유하는 에어로졸의 에어로졸 광학두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리데이터로부터 격자영역을 설정하고, 기상청에서 수신된 바람데이터를 이용하여 격자영역 내의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산정체계부 및 산정체계부에서 지리데이터, 바람데이터,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정된 웹사이트(Website)에 격자영역 상의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을 제1타입정보로 표출하고 산정체계부에서 지리데이터, 바람데이터,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조건에 대응해 선택하여 추출되는 제2타입정보를 내부망에 표출하는 표출체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경위성을 통한 에어로졸의 이동량 표출 방법은 환경위성을 통한 에어로졸의 이동량 표출 시스템의 산정체계부에 의해 작동되는 (a)단계와 표출체계부에 의해 작동되는 (b)단계를 포함한다.
- 대표 청구항 위성(A)과 통신하며 위성에서 전송하는 지리데이터 및 영공에 부유하는 에어로졸의 에어로졸 광학두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리데이터로부터 격자영역(D)을 설정하고, 기상청에서 수신된 바람데이터를 이용하여 격자영역(D) 내의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산정체계부(10); 및산정체계부(10)에서 지리데이터, 바람데이터,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정된 외부망의 웹사이트(Website)에 격자영역(D) 상의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을 제1타입정보로 표출하고, 산정체계부(10)에서 지리데이터, 바람데이터, 에어로졸의 이동방향, 에어로졸의 타입 및 에어로졸의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조건에 대응해 선택하여 추출되는 제2타입정보를 내부망에 표출하는 표출체계부(20)를 포함하고,산정체계부(10)는,위성(A)으로부터 지리데이터 및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Aerosol Optical Depth)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01)과,통신모듈(101)이 수신한 지리데이터로 격자영역(D)이 생성된 격자지도(C)를 생성하는 지도생성모듈(102)과,통신모듈(101)이 수신한 에어로졸 광학두께(AOD)데이터로부터 에어로졸을 탐지하는 에어로졸탐지모듈(103)과,통신모듈(101)이 수신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수신된 바람데이터 그리고 에어로졸탐지모듈(103)에서 탐지된 에어로졸에 바람데이터를 적용하여 바람벡터에어로졸(J)로 생성하는 벡터에어로졸생성모듈(104)과,설정기간 동안 에어로졸탐지모듈(103)로부터 수신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데이터를 통해 격자영역(D)내의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중간값(m),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표준편차값(σ) 및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평균값(μ)을 각각 산출하는 변수값산출모듈(105)과,변수값산출모듈(105)에서 산출된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중간값(m)과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표준편차값(σ)을 기 설정된 제1산식(m-3σ)에 대입하여 제1산식값을 산출하고, 설정기간 동안 산출된 제1산식값의 평균값을 격자영역(D)의 배경농도로 설정하는 배경농도설정모듈(106)과,격자영역(D)내의 위성에서 관측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값과 배경농도설정모듈(106)을 통해 격자영역(D)내로 설정된 배경농도의 값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연직적분산식에 지도생성모듈(102)에서 생성한 격자영역에 격자영역 당 유입유출량을 산출하는 이동량산정모듈(107)을 포함하는, 환경위성을 통한 에어로졸의 이동량 표출 시스템(1).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우주항공·해양
우주관측, 센싱 - 출원번호 10-2022-0145493 KIPRIS
- 출원일 2022-11-03
- 공개번호
- 공개일
- 등록번호 10-2500371
- 등록일 2023-02-10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등록
- 현재 권리자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IPC 코드 G06Q-050/26, G01W-001/08, G01W-001/10, G06F-017/10

































































Copyright ⓒ 한국연구재단 기술사업화센터 (NRF-TC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