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가 하방을 향하도록 수중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해양 생물이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중 카메라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출입하는 해양 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 대표 청구항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 상측 가로 프레임과,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상측 가로 프레임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상측 가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하측 가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 가로 프레임, 십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상측 가로 프레임의 전후, 좌우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제1 상측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1 하측 가로 프레임의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카메라 렌즈가 하방을 향하는 수중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수중 드론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되;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2 상측 가로 프레임과,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상측 가로 프레임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상측 가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하측 가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측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2 하측 가로 프레임의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해양 생물이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프레임과,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가 결합된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 주변의 고정프레임에 수중 카메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 카메라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로 출입하는 해양 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상기 수중 카메라부의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영되는 시야각은 155°내지 175°를 유지하고;상기 수중 드론을 원격에서 무선 조종함으로써, 상기 수중 드론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일체로 이동하며;상기 고정프레임은,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상측 가로 프레임과 제1 하측 가로 프레임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하측 가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중앙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3 고정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3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 카메라부 및 배터리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상기 수중 카메라부와 전원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수중 카메라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수중 카메라부와 배터리부는 수압에 의한 누수 및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압 용기로 이루어지며;상기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중 소음 측정기, 음파 탐지기, 수질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는 판 형태의 바닥부가 형성되되, 상기 바닥부는 피딩컵 재질로 형성되며;상기 내압용기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STS316)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우주항공·해양
    해양자원탐사

  • 출원번호 10-2022-0116072 KIPRIS
  • 출원일 2022-09-15
  • 공개번호 10-2024-0037499
  • 공개일 2024-03-22
  • 등록번호 10-2652939
  • 등록일 2024-03-26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등록
  • 현재 권리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IPC 코드 G06Q-050/02, H04N-007/18, G03B-015/00, G06Q-050/10, B63G-008/38, B63G-0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