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본 발명은 해양수질인자 및 기후인덱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단계; 상기 해양수질인자 및 기후인덱스 데이터의 시계열 생성 및 상기 시계열의 단위를 표준화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시계열을 이용하여 해양 수질 데이터와 기후인덱스의 공통변동경향 및 요인부하량을 산정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획득된 공통변동경향과 요인부하량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수질 데이터의 변동성을 이용한 기후변화 취약해역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 대표 청구항 해양수질인자 및 기후인덱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단계;상기 해양수질인자 및 기후인덱스 데이터의 시계열 생성 및 상기 시계열의 단위를 표준화하는 제2단계;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시계열을 이용하여 해양 수질 데이터와 기후인덱스의 공통변동경향 및 요인부하량을 산정하는 제3단계; 및상기 제3단계에서 획득된 공통변동경향과 요인부하량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3단계는,상기 제2단계에서 표준화된 N개의 기후인덱스와 해양수질인자 시계열 변동성을 아래 식 2를 이용하여 M개의 공통변동경향과 요인부하량 및 잡영성분으로 분해 하고,[식 2] 여기서, 는 t시기에 i번째 시계열에 해당하는 값, 는 j번째 공통변동경향(common t rends), 는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 는 잡영성분임.상기 제4단계는,상기 제3단계에서 산정된 공통변동경향과 요인부하량 및 잡영성분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수질인자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아래 식 3으로부터 기후인덱스 및 해역별 해양수질인자의 ER ratio 를 산정하고, 산출된 공통변동경향들의 기후인덱스와 해양수질인자의 변동성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식 3] 해양 수질 데이터의 변동성을 이용한 기후변화 취약해역 평가 방법.
  • 대표 도면
  • 전략기술 분류 우주항공·해양
    해양자원탐사

  • 출원번호 10-2022-0099230 KIPRIS
  • 출원일 2022-08-09
  • 공개번호
  • 공개일
  • 등록번호 10-2500944
  • 등록일 2023-02-14
  • 우선권 번호
  • 우선권 국가
  • 우선권 주장일

  • 현재 상태 등록
  • 현재 권리자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IPC 코드 G06F-016/901, G06Q-050/26, G06Q-010/06, G06F-017/18